“인간은 뇌의 10%만 사용하고 있다.” 이 문장은 한 번쯤 들어본 적 있으실 겁니다. 수많은 자기계발 서적, 영화, TV 프로그램에서도 이 이야기를 다루며, “90%의 뇌를 개방하면 초능력이 가능하다”는 주장까지 이어지기도 했죠.
하지만 이 말은 **과학적으로 근거 없는 잘못된 통념**입니다. 인간의 뇌는 실제로 거의 대부분이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10%만 사용한다’는 주장은 **과학적 오해에서 비롯된 신화**에 불과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 흔한 오해의 유래와, 실제 뇌 사용률에 대한 신경과학의 최신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인간은 뇌의 몇 %를 사용하는가?’라는 질문에 정밀하게 답해보겠습니다.
🧠 뇌의 10%만 사용한다는 믿음의 유래
이 잘못된 믿음은 정확한 출처가 불분명하지만, 몇 가지 유력한 가설이 있습니다.
1. 윌리엄 제임스의 오역 또는 과장
20세기 초 미국의 심리학자 윌리엄 제임스는 “우리는 우리의 정신적, 신체적 자원의 일부만을 사용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그의 발언은 뇌 사용률과는 무관했으며, 이후 대중 매체에서 **‘10%’라는 수치로 잘못 전해진 것**으로 보입니다.
2. 초기 신경해부학의 한계
19세기와 20세기 초반에는 뇌의 기능 중 상당 부분이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이 때문에 **기능이 명확하지 않은 영역을 ‘쓸모없는 부분’으로 간주**한 경우도 있었죠.
3. 대중문화의 영향
영화 루시(Lucy), 리미트리스(Limitless) 등은 “90%의 뇌를 깨우면 초인적 능력이 생긴다”는 설정을 전제로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설정이 대중적으로 확산되면서 **마치 과학적 사실처럼 받아들여진 측면**도 있습니다.
🔬 과학은 뇌의 거의 전부를 사용한다고 말한다
현대의 뇌영상 기술(예: fMRI, PET, EEG 등)을 활용한 연구에 따르면, 인간의 뇌는 거의 모든 영역이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1. 휴식 중에도 활성화되는 뇌
우리가 아무것도 하지 않고 쉴 때조차도, 기억을 정리하거나 사고, 감정 조절을 담당하는 뇌의 영역들은 계속 활동합니다.
이른바 기본 모드 네트워크(Default Mode Network)는 휴식 상태에서도 활발히 작동하는 뇌 회로이며, 뇌는 결코 ‘90%가 쉬는 상태’가 아닙니다.
2. 다양한 영역이 협업하는 뇌의 구조
- 시각을 볼 때는 후두엽
- 청각은 측두엽
- 운동은 전두엽과 운동피질
- 언어는 브로카 영역과 베르니케 영역
즉, 어떤 작업을 하든 **뇌의 여러 부위가 유기적으로 협력**하고 있으며, 뇌의 10%만 사용된다는 주장은 사실과 정반대입니다.
🧪 신경세포와 뇌세포의 역할 혼동
10% 뇌 사용설이 퍼지게 된 또 다른 원인은 신경세포(뉴런)와 비신경세포(글리아 세포)의 혼동에 있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전체 뇌세포의 약 10%만이 신경세포이고, 나머지는 지지세포(아교세포)라는 사실을 오해해 ‘나머지 90%는 사용되지 않는다’는 식으로 와전된 것입니다.
하지만 현대 연구에 따르면 글리아세포 또한 **시냅스 형성, 면역반응, 신경 전달 보조 등** 매우 중요한 기능을 수행합니다.
📉 뇌의 일부가 손상되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만약 뇌의 90%가 필요 없다면, 사고나 질병으로 뇌의 일부가 손상돼도 큰 문제가 없어야 합니다.
하지만 현실은 다릅니다. 뇌졸중, 외상성 뇌손상, 치매 등에서 아주 작은 영역만 손상돼도 언어 능력, 운동 능력, 인지 능력, 감정 조절 등이 심각하게 무너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의학적 증거만 보더라도, 뇌의 대부분이 실제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을 명확히 알 수 있습니다.
📚 뇌 활용을 높이는 방법은 존재할까?
뇌의 100%를 안 쓴다는 주장은 틀렸지만, “효율적으로 뇌를 활용하는 법”은 존재합니다.
1. 뉴로플라스틱성 (Neuroplasticity)
뇌는 평생에 걸쳐 **경험, 학습, 반복**에 따라 스스로 구조를 바꿀 수 있는 능력이 있습니다. 이를 통해 새로운 능력을 익히고 기존 기능을 보완할 수 있습니다.
2. 뇌 활용도를 높이는 실천법
- 규칙적인 운동 → 전두엽 활성화
- 충분한 수면 → 기억 정리 및 뇌 회복
- 독서와 학습 → 신경망 형성 촉진
- 명상 → 스트레스 감소, 집중력 향상
즉, ‘더 많은 뇌를 쓰자’가 아니라, ‘지금 사용하는 뇌를 더 잘 활용하자’는 것이 과학의 조언입니다.
🔍 결론: 뇌는 10%가 아니라, 거의 100%를 사용하고 있다
“인간은 뇌의 10%만 사용한다”는 말은 매력적인 자기계발 문구일지는 몰라도, 과학적 사실과는 거리가 먼 뇌과학적 오해입니다.
현대의 뇌영상 기술과 신경과학 연구는 우리가 뇌의 대부분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각 부위가 협력해 복잡한 작업을 처리하고 있다는 사실을 명확히 보여줍니다.
진정한 문제는 얼마나 쓰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쓰느냐입니다. 꾸준한 학습, 운동, 휴식, 명상 등을 통해 당신의 뇌는 더욱 효율적으로, 더욱 창의적으로 진화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