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다시 한 번 민생소비쿠폰을 꺼내들었습니다. 이번에는 전 국민이 아닌 일정 조건을 충족한 가구에게만 지급됩니다. 금액은 1인당 10만 원. 그렇다면 과연 나는 받을 수 있을까요?
1️⃣ 왜 또 소비쿠폰인가?
1차 소비쿠폰이 큰 호응을 얻었던 만큼, 내수 진작 효과를 이어가기 위해 2025년 하반기 2차 지원이 시행됩니다. 단, 무조건적인 보편 지원이 아닌 “상위 10% 제외”라는 원칙이 붙었습니다. 이를 통해 상대적으로 생활비 부담이 큰 가구에 혜택이 집중되도록 한 것이죠.
2️⃣ 자격은 어떻게 정해지나?
많은 분들이 “소득을 어디까지 봐요?”라고 물어보지만, 사실 기준은 소득이 아니라 건강보험료입니다. 2025년 6월 고지된 건보료 본인부담금이 심사 기준으로 활용됩니다.
- 1인 가구: 직장가입자 22만 원 이하
- 2인 가구: 33만 원 이하
- 3인 가구: 41만 원 이하
- 4인 가구: 51만 원 이하
- 5인 이상: 60만 원 이하
지역가입자나 혼합가구의 경우 금액이 조금 다르게 책정되며, 재산이 많으면 추가로 제한을 받을 수 있습니다.
3️⃣ 어떻게 신청하나요?
이번 쿠폰은 자동으로 지급되지 않습니다. 반드시 본인이 신청해야 하며, 온라인·모바일 신청이 원칙입니다.
- 신청 기간: 2025년 9월 22일 ~ 10월 31일
- 사용 기한: 11월 30일까지
- 신청 채널: 카드사 앱, 제로페이, 지역사랑상품권 앱 등
- 출생년도 끝자리에 따라 요일제가 적용될 수 있음
4️⃣ 자주 묻는 질문 (Q&A)
Q. 이미 1차 지원 받았는데 또 받을 수 있나요?
A. 네, 가능합니다. 단 2차는 별도의 기준(6월 건보료)으로 다시 심사합니다.
Q. 부모님과 같이 살지만 세대가 분리돼 있으면?
A. 세대별로 건보료가 따로 책정되므로, 본인 세대 기준으로 심사됩니다.
Q. 카드 포인트로만 지급되나요?
A. 카드 포인트, 지역화폐, 모바일 상품권 등 선택 방식이 다양합니다.
Q. 재산이 많으면 제외되나요?
A. 맞습니다. 재산세 과세표준 12억 원 이상이면 건보료 기준을 충족하더라도 지급 대상에서 빠질 수 있습니다.
5️⃣ 마무리
결론적으로, 대상 여부는 건보료로 확인해야 하며, 반드시 신청 기간 내 절차를 완료해야 합니다. 1인당 10만 원이라고 가볍게 볼 수 없죠. 생활비 부담을 덜 수 있는 혜택이니, 해당된다면 꼭 챙겨 보시길 바랍니다.
'일상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한일가왕전 황민호(ファンミノ) - 붓(筆) 무대 다시보기 및 노래듣기 (0) | 2025.09.24 |
---|---|
울산 고래축제 2025, 여행자 시선으로 본 4가지 핵심 가이드 (0) | 2025.09.23 |
2025 진주 남강유등축제 – 불빛이 전하는 위로와 여행의 가치 (0) | 2025.09.20 |
서울 청년의 월교통비, 어떤 제도가 더 절약될까? (0) | 2025.09.16 |